-
11일차- 내일배움캠프 1기 TIL(Today I learned)_ AWS S3개발일지(TIL) 2021. 10. 7. 02:32
1. AWS 공부 시작
AWS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.
항상 배우는 기술이 무엇이고, 왜 써야하는지 의구심을 가지라는 말과 함께 한 주치의 강의를 들었다.
-AWS란?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, 100개 이상의 서비스가 있으며 파일 저장소나 인프라의 기능 등을 수행.
-AWS를 쓰는 이유? 기존 인프라는 서비스를 제작하기 위해서, 하드웨어를 구축하는데 시간적 비용적 소모가 큼. 하지만 AWS는 레고 조립하는 것과 같이 100개 이상의 서비스를 내 서비스에 맞게 조합해서 사용가능하고 언제든 삭제, 수정이 됨, 그리고 빠르다.
-주로 AWS를 사용하는 유명 기업들의 기술 블로그를 참고하거나, 공식 다큐먼트를 읽는 것이 학습 방법.
<1주차 새로 배운 내용>
-S3 서비스 : 파일 저장소 역할을 하는 클라우스 서비스, bucket이라는 공간을 생성해서, 권한 부여, 파일 업로드 등이 가능
-IAM 서비스 :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, 권한을 만들고 key를 발급 받아서 외부에서 나의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다.
-AWS SDK : AWS 서비스를 CIL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
-boto3 : 플라스크에서 AWS를 사용하게 해주는 Python 모듈
-정적 파일 서버호스팅 : S3를 통해서 HTML, CSS, IMAGE 등의 정적 파일을 호스팅 할 수 있다.
-비용 산정 : 요청 수, 저장소 크기,,, 등등
<2주차 새로 배운 내용>
-프론트와 백앤드를 나누는 이유?
옛날에는 아키텍처가 Monolithic이라고 프론트고, 백이고 1개의 서버에 다 때려박는 구조이엇지만
오늘날에는 MSA라고 해서, 프론트는 프론트 서버에 물리적으로 다른곳에, 백앤드는 백앤드 서버에 물리적으로 다른곳에 저장하는 방식을 취함.
-그래서 분리하면 뭐가 좋은데?
분리되면 의존성이 서로 사라져서, 1개를 수정하면 다른 기능에도 영향을 주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.
AWS를 사용하면 100개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더 잘개 쪼개고 분리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, 문제는 이렇게 되면 개발도 인프라를 알아야 일할 수 있다.
-cloudfront : S3와 함께 사용하면 S3의 데이터를 국경을 넘어 케싱 해주어서 속도를 빠르게 한다.
완성! http://d3e78wdm5di0r8.cloudfront.net/
2.좋은점
AWS를 일한다고 상상하면서 이해해보는 좋은 기회이었다.
3.아쉬운점
오전에 프로젝트 회의하고 점심밥 먹으면 급속도로 졸려서, 집중력이 너무 떨어졌다.
정신 똑바로 차리고 집중해서 듣자,,!
반응형'개발일지(TIL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일차-내일배움캠프 1기 TIL(Today I learned)_ 알고리즘 (0) 2021.10.22 13일차- 내일배움캠프 1기 TIL(Today I learned)_ 로그인/회원가입 기능 (0) 2021.10.13 10일차- 내일배움캠프 1기 TIL(Today I learned)_ 프로젝트 마무리_ Weekly Test (0) 2021.10.02 9일차- 내일배움캠프 1기 TIL(Today I learned)_팀 프로젝트(4 일차 )_댓글 기능 구현 (0) 2021.09.30 8일차- 내일배움캠프 1기 TIL(Today I learned)_팀 프로젝트(3 일차 )_ /과거회고/CRUD/ 외부API/ (0) 2021.09.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