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네트워크- 네트워크 정의, 패킷, 비트, 바이트, LAN, WAN개발공부/CS지식 2022. 1. 10. 02:18
우리가 웹 브라우저를 켜고 구글에서 url 창에 www.naver.com을 입력하면 어떤일이 일어날까?
첫째 해당 url을 입력하면 네이버의 DNS서버로 요청이가서 IP주소가 반환된다.
해당 IP주소를 가지고 "네이버 서버"에 접근하여 네이버 웹 페이지를 받아와 브라우저에 호출한다.
오늘은 네트워크에 대해 정리 해보며 더 자세히 알아보자.
패킷
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한 것을 네트워크하고 한다. 연결된 컴퓨터는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.
이때 데이터는 패킷(데이터의 작은 조각)으로 전달 된다.
ex) 이미지 파일 1개를 보낸다고 가정하면, 1개의 이미지 파일이 수십개의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된다.
또한 컴퓨터는 0과 1 즉 이진법만 인식 할 수 있다.
0과 1의 단위를 Bit라고 하며, 8bit == 1byte이다.
우리가 키보드로 입력하는 문자 역시 ASCII 코드라는 기본 문자 코드로 컴퓨터에 미리 설정되어 있기에 가능하다.
LAN 과 WAN
LAN은 가정이나 사무실, 한 빌딩의 네트워크다. (Local Area Network)
+ [컴퓨터]-[컴퓨터]-[프린트]
WAN은 LAN과 LAN을 ISP(인터넷 제공자 = KT, SK, U+)가 연결하여 구축한 광역 네트워크다. (Wide Area Network)
+ [LAN]-[ISP : 인터넷 공유기]-[LAN]
인터넷은 크고 작은 네트워트를 연결한 초거대 네트워크다.
소규모 회사 네트워크
- 작은 규모 사무실의 LAN과 WAN을 살펴보자.
- 서버실이 있다면 On-premise 방식이라고 한다.
- 서버실이 없고 클라우드를 사용하거나, 데이터센터를 따로 둘 수 있다.
- 외부와 통신하는 용도와 내부 통신을 용도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.
프로토콜 - OSI 계층, TCP/IP 계층
- 네트워크에서 통신 할때는 통신하는 방법에 대한 공통의 약속이 있다. == 프로토콜
- 이런 규칙을 프로토콜이라 부르는데, 1977년 국제화기구 ISO에서 세계적인 공통 규칙을 만들었다.
- OSI 계층이라는 7개 계층의 통신 규약을 만들었는데 현재 인터넷에는 4계층의 TCP/IP 계층이 사용된다.
- 각 층에 맞는 통신 규칙들이 있다.
- 흔히 우리가 만든 스프링, 플라스크 같은 서버와 브라우저가 통신하는 곳은 "응용 계층"
- 전송되는 데이터의 목적지 확인, 오류가 발생 시 재전송을 담당하는 "전송 계층"
- IP 주소를 사용하여 어떤 네트워크의 주소인지, 목적지 네트워트로 전송하는 "네트워크 계층"
- 같은 IP 주소 안에서 컴퓨터 고유의 MAC주소를 가지고 목적 컴퓨터로 찾아가는 "데이터 링크 계층"
- 데이터가 이진법의 데이터로, 즉 전기 주파수로 바뀌어서 전송되는 계층 "물리 계층"
- 이런 계층들을 순환하며 인터넷 통신이 이루어 진다.
Resource
http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61794014
반응형'개발공부 > CS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발문서 - 컨플루언스(Confluence) 입문 (0) 2023.07.16 쉬운 URL과 URL의 차이 (2) 2022.02.02 REST API란? (0) 2022.01.10 동기와 비동기 (0) 2021.11.15 쿠키와 세션의 차이 (0) 2021.11.09